안녕하세요, DAIT90000(다있구만)입니다. 겨울철 운전하시는 분들~~ 반드시 확인해야 될 것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블랙아이스!!! 이런 블랙 아이스는 겨울철 대형 교통사고의 주범이 되는데요. 빙판 또는 살얼음판, 도로 표면에 마치 코팅을 한 것처럼 얇은 얼음 막이 생기는 현상을 우리는 블랙 아이스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도로 살얼음이 위험한 이유는... 승용차 같은 경우 제동거리가 마른 노면에서는 11m이지만 빙판길에서는 48.3m까지 길어지게 됩니다. 화물차는 더 심한데요. 일반 노면이 14.8m인 반면 빙판길에서는 110m를 지나야 차를 세울 수 있고요. 버스는 마른 노면 17.2m, 빙판길 132m라는 결괏값을 보이고 있습니다. 만약 그 빙판길이 곡선 구간이라면? 시속 40km 이상 일 경우 제어는 사실 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시면 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빙판길 곡선 구간에서는 반드시 시속 40km 이하로 운전하셔야 됩니다.
a
1. 도로 살얼음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은?
항상 도로 살얼음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이 있는데요, 그늘이 졌다든지... 온도가 낮은 곳 등에서 블랙 아시스가 자주 발생합니다. 교량 위에서도 많이 발생하고요, 비탈면 구간에서도 많이 발생합니다. 산 모퉁이를 돌면 나오는 음지 같은 경우에도 블랙아이스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고요, 터널 입구나 터널 출구 등지에서도 각별히 도로 살얼음을 주의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올 겨울에는 이런 구간을 지날 때... 반드시 기억해놓으셨다가 안전속도를 유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교량 위, 비탈면 구간, 산모퉁이 음지, 터널 입구/출구
2. 겨울철 차량 안전 운행법
보통 겨울철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행하기 전부터 기상 정보, 도로 정보를 꼼꼼하게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고, 노면에 습기가 있거나 결빙이 예상되는 구간에서는 절대 감속... 그러니까 조금 감속하는 것이 아니라 절대 감속해야 되고, 급제동이나 급핸들 조작/급가속 등을 절대 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차량 운행 시 앞 차와는 충분한 간격을 두고 방어 운전을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요. 눈길을 집입 할 때는 앞 차의 타이어 자국을 따라가는 것이 훨씬 안전합니다. 그리고 차량이 미끄러질 때 핸들 조작은 미끄러지는 쪽 방향으로 해야 한다는 사실... 꼭 기억해주십시오. 보통은 반대방향으로 하게 되는데요. 겨울 철에는 스핀 현상이라는 것이 발생해서 훨씬 더 통제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인데요, 눈이 왔을 때는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운행한다 하더라도 저속으로 운행하셔야 한다는 사실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교량이나 터널, 커브길에서는 몇 번 강조해서 말씀드리지만 반드시 감속 운행하셔야 하고... 또 빠트린 것이 뭐가 있을까요?... 안전거리 같은 경우도 평소보다 2배 이상 유지하는 것을 추천드리고요.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서 겨울철에는 스노체인 같은 월동 장구를 반드시 차량에 비치하고 다니시는 것을 당부드립니다. 또 폭설에 고립된 경우에는 차를 갓길이나 본선에 방치하지 말아야 하는 점도 기억해두시면 좋고요. 대형 화물차량은 고속도로 주행을 자제하고 휴게소 같은 곳에서 대기한 후에 운행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눈이 왔을 경우에는 당연히 타이어도 스노타이어로 교체하고, 부동액, 배터리 이상 유무도 미리미리 사전에... 반드시 점검해 보셔야 합니다.
운행하기 전 교통 정보를 사전 확인하려면, 일반 국도 같은 경우에는 국번 없이 1333으로 전화하시면 자세히 안내받으실 수 있고요, 고속도로는 1588 - 2504로 전화하시면 눈길 상황, 블랙아이스 상황 등에 대한 자세한 교통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도로안전 관리체계 본격 가동
정부는 도로안전 관리체계를 본격 가동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중점 추진사항으로 도로 살얼음 및 폭설 등에 대비한 선제적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가급적 겨울철에는 내비게이션을 잘 활용할 필요성이 있는데요. 무슨 말이냐면 결빙 취약 구간 등에 대해서 내비게이션에서 안내를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조치를 취하겠다는 겁니다. 지금까지는 안내되었던 결빙 취약 구간이 약 410개소 정도였는데 이를 464개 까지 확대할 예정이며 우리는 눈이 올 것 같다... 혹은 날이 추워 블랙 아이스가 의심된다면 본인이 아는 길이라고 하더라도 반드시 내비게이션 경고 방송 등에 주의를 기울이며 운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눈이 내릴 때 운행 제한 속도를 낮춰야 한다는 점도 반드시 숙지하여야 하는데요. 노면이 젖어 있거나 쌓인 눈이 2cm 이하 일 때는 20% 감속 운행하시고... 노면이 얼거나 쌓인 눈이 2cm 이상일 경우는 50% 감속 운행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 외에도 정부는 안전시설을 확충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자동 염수 분사 시설... 즉 눈을 녹일 수 있는 염수를 분사하는 장비를 59개소에 더 추가 설비할 예정이고요, 조명식 결빙 주의 표지판도 93개소에, 노면 홈파기 구간도 6km 정도를 확충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재설 자원을 확보하는데 주력, 최근 5년간 평균 사용량의 130%... 그러니까 약 40만 톤 정도의 염화칼슘이나 소금 같은 제설제를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b
오늘은 이렇게... 겨울철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는 블랙 아이스가 자주 발생하는 장소와 그런 여러 위험 발생에 대비해 운전자로서 겨울 차량 운행하는 법, 정보 확인법, 정부의 정책 등에 대해서 살펴보는 시간을 갖아보았습니다. 사실은 그제 제가 눈 길에서 넘어져서... 오늘은 꼭 이 주제로 글을 써야겠다 결심한 터 괜히 글만 더 길어진 것 같긴 하지만... 불필요한 내용은 전혀 없으니 오늘 글 같은 경우는 특히나 더욱... 여러 번 읽어보시고 올 겨울 반드시 안전 운전하시길 당부드리겠습니다. 이상 DAIT90000(다있구만)이었고요, 오늘 정보 도움이 되었다면 구독 및 공감, 댓글은 사랑입니다.
댓글